티스토리 뷰
목차
우리가 일상 대화나 메신저, 블로그 글을 쓸 때 자주 헷갈리는 표현이 있죠.
특히 누군가를 만나는 상황에서 쓰는 ‘봬요’, ‘뵈요’, ‘봴게요’, ‘뵐게요’ 같은 표현은 자주 틀리는 대표적인 맞춤법 중 하나예요.
이런 표현은 공적인 자리에서도 자주 쓰이기 때문에 올바르게 알아두면 정말 도움이 됩니다.
오늘은 이 네 가지 표현을 예시와 함께 정확히 구분해보고, 언제 어떻게 써야 하는지도 확실하게 정리해드릴게요.
봬요 뵈요 정확한 표현은?
‘봬요’가 맞는 표현입니다.
‘뵈요’는 틀린 말이에요.
- ‘뵈다’는 ‘보다’의 높임말이에요. 여기에 종결어미 ‘어요’가 붙으면 ‘봬요’가 됩니다.
- 이때 ‘뵈어요’ → 줄여서 ‘봬요’로 변화하는 거죠.
예시)
- 선생님, 내일 뵐게요. (O)
- 선생님, 내일 뵈요. (X)
쉽게 기억하는 팁은?
‘보다’의 높임말은 ‘뵈다’ → 이게 줄어들면 ‘봬요’입니다. 그래서 항상 ‘봬요’가 맞는 거예요.
뵐게요 봴게요 맞춤법
정답은 ‘뵐게요’입니다.
‘봴게요’는 틀린 표현이에요.
- ‘보다’의 높임말 ‘뵈다’ + ‘~ㄹ게요’가 결합된 것이 ‘뵐게요’입니다.
- 발음상 ‘봴게요’처럼 보일 수 있지만, 국어 문법상 존재하지 않는 말이에요.
예시)
- 내일 꼭 뵐게요! (O)
- 내일 꼭 봴게요! (X)
이 표현은 특히 회의 이메일이나 메시지에서 자주 쓰이는데요. 중요한 자리일수록 맞춤법을 올바르게 사용하는 게 신뢰를 높입니다.
헷갈리는 이유는 뭘까요?
1. 발음상 유사
‘봬요’와 ‘뵈요’, ‘뵐게요’와 ‘봴게요’는 발음상 비슷하게 들려서 오해가 생기기 쉬워요.
2. 문자, 메신저의 빠른 타이핑
빨리 입력하다 보면 잘못된 표현도 자연스럽게 익숙해지기 쉬워요.
하지만 반복해서 쓰다 보면 그게 ‘맞는 표현’처럼 느껴질 수 있습니다.
3. 주변에서도 자주 틀리는 경우
친구나 동료가 잘못 사용하는 걸 보면, 나도 모르게 따라 쓰게 되는 경우가 많아요.
SNS나 카카오톡 등에서 자주 보이기 때문에 더 헷갈릴 수밖에 없습니다.
쉬운 구분법 예시
- "선생님을 뵙다"라는 기본형을 기억하세요.
- 거기서 활용되는 표현들은 항상 ‘뵈-’에서 변형되는 겁니다.
- ‘뵙다 → 뵐게요, 봬요’ 이렇게 바뀌는 거죠.
예시를 하나 더 들어볼게요.
- 회의 전에 먼저 뵐 수 있을까요? (O)
- 회의 전에 먼저 봴 수 있을까요? (X)
이처럼 기본형을 알면 활용도 자연스럽게 바르게 쓸 수 있습니다.
마치며..
우리가 자주 쓰는 표현일수록 정확히 알고 써야 하는 이유는, 그 말이 나를 대표하는 이미지로 작용하기 때문이에요.
‘뵈요’, ‘봴게요’는 보기엔 자연스러워 보여도 문법상 틀린 표현입니다.
메신저에서든 이메일에서든, 더 이상 틀리지 않도록 오늘 정리한 내용을 꼭 기억해주세요.
언어는 습관이고, 맞춤법도 반복해서 익히면 자연스럽게 익숙해집니다.
자주 쓰는 표현일수록 더 세심하게, 바른 우리말을 쓰는 습관을 들여보면 어떨까요?
어떻게 어떡해 차이? 맞춤법·어원·예문까지 완벽 구별법!
어떻게와 어떡해의 차이, 올바른 사용법과 예문 정리일상 대화나 글을 작성할 때 “어떻게”와 “어떡해”를 헷갈려 사용하는 분들이 많습니다.이 두 단어는 발음과 쓰임새가 비슷하지만, 의미
yoarc.tistory.com
'이슈' 카테고리의 다른 글
24시 헬스클럽 출연진 정보 몇부작 줄거리 웹툰 이준영 정은지 드라마 OTT (1) | 2025.04.20 |
---|---|
에겐남 테토남 차이 뜻 간단 테스트 특징 연애 궁합 대표 연예인 총정리 (1) | 2025.04.20 |
상견례 옷차림 대화 주제 예절 부모님 코디 선물 자리배치 식사비용 총정리 (0) | 2025.04.19 |
스타벅스 블랙카드 정체 스벅 VIP 혜택 5가지 프리미엄 카드 조건 총정리 (0) | 2025.04.19 |
퉁퉁퉁 사후르 뜻 인기이유 브레인롯 밈 AI 캐릭터 종류 티셔츠 피규어 (0) | 2025.04.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