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반응형

대구법, 설의법부터 대조법, 반복법, 역설법까지 글쓰기와 논술, 면접 대비에 필수인 표현 기법을 간단한 예시와 함께 정리했습니다.

요즘 글쓰기나 논술 준비를 하다 보면 단순히 문장을 쓰는 걸 넘어서, 얼마나 효과적으로 자신의 생각을 표현하느냐가 중요해졌죠.

특히 수사법을 적절히 활용하면 문장이 더 풍부해지고, 독자에게 강한 인상을 줄 수 있어요.

대구법 예시 설의법 뜻 차이 대조법 반복법 열거법 역설법 은유법 논술 준비

오늘은 그중에서도 자주 나오는 표현 기법인 대구법과 설의법을 중심으로, 함께 알아두면 좋은 다른 수사법까지 예시와 함께 깔끔하게 정리해드릴게요.

꼭 외우기보다, 언제 어디서 쓸 수 있는지 감각적으로 익혀두면 실전에서도 유용하게 활용하실 수 있어요.

대구법 뜻

반응형

대구법 예시 설의법 뜻 차이

같은 구조로 문장을 배열해 강조하는 표현 방식이에요.

대구법은 비슷한 문장 구조를 나란히 배치해 자연스럽게 리듬을 만들고, 독자의 기억에 오래 남도록 하는 기법이에요.

글의 균형과 운율감을 살릴 수 있어요.

고전 문학이나 속담에서 많이 보이는데, 요즘 글쓰기나 면접에서도 설득력 있는 문장을 구성할 때 유용합니다.

대구법 예시

  • 낮말은 새가 듣고, 밤말은 쥐가 듣는다
  • 콩 심은 데 콩 나고, 팥 심은 데 팥 난다
  • 인생은 짧고, 예술은 길다
  • 바람은 불고, 파도는 넘실댄다

활용 팁
유사한 구조로 짝을 이루는 표현을 쓸 때, 대구법을 떠올려 보세요.

예를 들어, 자기소개서에서 "꿈을 위해 배웠고, 도전을 위해 성장했다"처럼 표현하면 인상적인 문장이 됩니다.

설의법 뜻

 

 

 

 

 

누구나 아는 사실을 질문형으로 표현해 강조하는 기법이에요.

설의법은 독자가 답을 이미 알고 있는 질문을 던져서 강조하는 방식이에요.

감정의 울림을 주거나, 독자의 공감을 이끌어내는 데 효과적이에요.

자기 생각을 단순히 말하는 대신, 상대에게 물어보는 듯한 형식을 통해 생각할 여지를 주는 거죠.

설의법 예시

  • 공든 탑이 무너지랴?
  • 네가 이러고도 인간이냐?
  • 세상이 얼마나 아름다운가?

활용 팁
자기 글에 감정을 더하거나 강조하고 싶은 문장이 있을 때 사용해 보세요.

"나는 실패를 두려워해야 할까?"처럼 쓰면 설득력과 여운이 살아납니다.

대구법 설의법 차이

 

 

 

 

 

구분 대구법 설의법
정의 유사한 문장 구조를 병렬로 배열 의문문을 활용해 강조
문장 형식 평서문 중심, 반복적 구조 의문문 중심, 감정 강조
주요 효과 운율감, 리듬감, 구조적 강조 감정 유도, 공감 유발
예시 콩 심은 데 콩 난다 공든 탑이 무너지랴?

이처럼 대구법은 구조적으로 조화를 이루는 표현이고, 설의법은 감정적으로 강조하는 표현이라고 보시면 이해가 쉬워요.

함께 알아두면 좋은 수사법들

 

 

 

 

 

대조법

반대되는 개념을 나란히 놓아 강조하는 기법이에요.
예를 들어, "달면 삼키고, 쓰면 뱉는다"처럼 상반된 내용을 한 문장 안에 넣어 강한 인상을 주는 방식이에요.

예시

  • 달면 삼키고, 쓰면 뱉는다
  • 잘 되면 제 탓, 못 되면 조상 탓
  • 빛이 있으면 그림자도 있다

반복법

같은 단어나 구조를 반복해서 인상에 남게 만드는 표현입니다.
리듬감 있는 문장을 만들고, 강조하고 싶은 말을 각인시키는 데 효과적이에요.

예시

  • 해야 솟아라, 해야 솟아라
  • 꽃이 피네 / 꽃이 피네
  • 나도 안다, 나도 안다, 그 마음을

열거법

관련 있는 단어들을 나열해서 구체성과 풍성함을 주는 기법이에요.
리스트처럼 단어들을 이어붙여서 강조하고 싶은 대상을 분명하게 보여줄 수 있어요.

예시

  • 나는 산, 강, 바다, 호수를 사랑한다
  • 병수 잃고 송편 들고, 갓 잃고 소반 쓰고
  • 연필, 지우개, 자, 필통 모두 책상 위에 있다

역설법

겉보기엔 모순되지만, 깊은 의미를 담고 있는 표현이에요.
한 번에 이해가 어려울 수 있지만, 의미를 곱씹을수록 감탄을 자아내는 방식이에요.

예시

  • 삶은 죽음에 이르는 병이다
  • 소리 없는 아우성이다
  • 멈춰야 비로소 앞으로 나아간다

은유법

비유적인 방식으로 간접적으로 표현하는 기법입니다.
'같다' 같은 연결어 없이 대상의 속성을 빌려와 자연스럽게 감정을 전달할 수 있어요.

예시

  • 내 마음은 호수요
  • 봄은 고양이로다
  • 시간은 스쳐가는 바람이다

마치며..

이번 글에서는 대구법과 설의법을 중심으로 다양한 수사법들을 간단한 예시와 함께 정리해 보았습니다.

글쓰기 실력을 키우고 싶다면, 단어 선택도 중요하지만 그 단어들을 어떻게 배열하느냐도 무척 중요해요.

표현 하나하나에 의도를 담고, 의미를 살려 쓴다면 훨씬 설득력 있는 문장을 완성할 수 있습니다.

이 표현법들은 단순히 시험용이 아니라 실생활 글쓰기나 말하기에서도 큰 도움이 되니 자주 연습해보세요.

 

 

뵈요 봬요 뵈어요 봬어요 정확한 맞춤법 구분 예시 우리말 한글 공부

우리말을 사용할 때 자주 헷갈리는 표현들이 많죠.특히 '뵈요'와 '봬 요'는 많은 사람들이 틀리기 쉬운 맞춤법 중 하나예요.대화 중에도 "그럼 내일 두 시에 뵈요?"라고 해야 할지, "그럼 내일 두

yoarc.tistory.com

 

반응형